본문 바로가기

마음

행복의 기원 l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서은국

[ 행복의 기원 l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작가  서은국

출판사 21세기북스

초판 2014년 5월 22일 

개정 2024년 5월 20일

- 20241027

 

1장 행복은 생각인가 

이성적 사고

의식적인 생각은 생명 유지의 필요조건이 아니다.

의식만이 우리의 눈에 보이기 때문에

생각이 자신의 행동과 결정을 항상 좌우한다고 착각한다.

이성적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보다 중요한 원인을 못 보게 만들기 때문에

행복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된다.

 

4장 동전 탐지기로 찾는 행복

행복은 삶의 최종적인 이유도 목적도 아니고,

다만 생존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정신적 도구일 뿐이다.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상황에서 행복을 느껴야만 했던 것이다.

행복은 생존을 위한 도구다.

 

6장 행복은 아이스크림이다

스칸디나비아 행복의 원동력은 넘치는 자유, 타인에 대한 신뢰,

그리고 다양한 재능과 관심에 대한 존중이다.

그들 사회는 삶의 외형보다 자신에게 중요한 일상의 즐거움과 의미에 더 관심을 두고 사는 곳이다.

 

행복한 사람들은 '시시한' 즐거움을 여러 모양으로 자주 느끼는 사람들이다.

행복은 초콜릿 같은 소소한 즐거움의 가랑비에 젖는 것이다.

 

7장 '사람쟁이' 성격

행복은 내가 좋아하고 나를 좋아하는 사람과 교류할 때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일종의 '부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가장 빈곤한 인생은 곁에 사람이 없는 인생이다.

 

'사람이 없다면 천국조차 갈 곳이 못된다.'

- 레바논 속담

무엇을 하며 어떤 모양의 인생을 살든, 사람으로 가득한 인생은 이미 반쯤은 천국이라는 뜻이리라.

 

8장 한국인의 행복

과도한 타인 의식은 집단주의 문화의 행복감을 낮춘다.

행복의 중요 요건 중 하나는 내 삶의 주인이 타인이 아닌 자신이 되어야 한다.

 

'행복해지려면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신경쓰지 마라'

'To be happy, we must not be too concerned of others.'

- 알베르 카뮈

 

타인을 의식하는 것이 습관이 되다보면 내가 아닌 타인의 시각을 통해 매사를 판단하고 평가하게 된다.

심지어 자신의 행복마저도.

나는 누구를 위해 사는가?

행복한 문화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과 선택에 당당함과 자신감이 넘친다. 

인생의 주도권을 자기가 쥐고 사는 것이다.

사람은 행복의 절대조건이지만, 오직 남을 '위해' 사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각자가 가진 독특한 꿈, 가치와 이상을 있는 그대로 서로 존중하며 이해하는 것이 '함께' 사는 모습이다.

그래야 사람의 가장 단맛을 서로 느끼며 살 수 있다.

 

9장 오컴의 날로 행복을 베다

'행복한 사람'은 일상에서 긍정적인 정서(기쁨 등)을 남보다 자주 경험하는 사람이다.

행복은 구체적인 경험이다.

그것은 쾌락에 뿌리를 둔, 기쁨과 즐거움 같은 긍정적 정서들이다.

 

행복에 대한 이해는 곧 인간이라는 동물이 왜 쾌감을 느끼는지를 이해하는 것과 직결된다.

진화의 여정에서 쾌감이라는 경험이 탄생한 이유 자체가 두 자원(생존, 번식)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행복의 핵심을 담은 사진 한장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이다.

행복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행복과 불행은 이 장면이 가득한 인생 대 그렇지 않은 인생의 차이다.

The rest are details.


나의 행복은 남들과 비교하고 남에게 평가 받는 것이 아니다.

나만의 소소한 행복을 찾고 느껴야 한다.

퇴근하고 돌아와 행복하다고 이야기 해주는 그가 있어서 나도 행복하다.

무조건 좋아한다고 말해주고 표현하는 그가 있어서 나도 행복하다.

매번 고맙다고 이야기해주는 그녀가 있어서 나도 행복하다.

그녀와 지내는 그가 있어서 나도 행복하다.

모두 감사합니다.

나도 그들에게 더 많은 행복을 느끼게 하는 사람이길...